본문 바로가기
플랜트/Code & Standard

ASTM 규격 보는법, 표기방법

by 기드리다 2024. 10. 3.

ASTM은 미국재료시험협회의 약자로서 미국에서의 모든 재료 및 시험방법에 대한 조사연구와 표준화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재료를 구분하기 위하여 표기방법을 다르게 하고 있는데 ASTM 규격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STM이란?

ASTM은 미국재료시험협회로 약자는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입니다. ASTM은 표준화의 대상을 Specification, Method, Definition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를 다시 작게 정식규격(Standard)와 가구격(Tentative)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정된 규격 외에 규격번호(통일성은 없음)와 함께 기호를 붙여 품종내용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ASTM 표기방법

 

(1) 재료표기는 종류별로 숫자앞에 알파벳을 붙여 아래와 같이 대분류를 합니다.

 

A : Ferrous Metals(단, Casting의 Nonferrous Metals중 일부는 극'로 분류됨)
B : Nonferrous Metals
C : Cementifious, Ceramic, Concrete and Masonry Meterials
D : Miscellaneous Materials
E : Miscellaneous Subjects
F : Materials for Specific Applications
G : Corrosion, Deterioration, and Degradation of Materials
ES : Emergency Standards
P : Proposals


(2) 이 대분류 뒤에 '-년도'를 붙여 Old와 New를 구분한다. 또한 년도 (십단위, 1단위만 표기) 뒤에 a, b, c등의 소문자로 표기된 것(보기 95a)은 한 해의 개정 순서를 나타낸다. 한편 '-년도' 표기 뒤에 년도를 추가한 것〔보기 C584―81(1988)〕은 지난번 개정(보기에서는 1981년) 후 수정사항 없이 그대로 다시 승인된 년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년도'표기 뒤에 ∈1 또는∈2 등으로 표기된 것은 지난번 개정후 편집 개정만 한 뒤 승인된 년도를 나타낸 것이다.


(3) ASTM의 기호 표기 규칙은 상기 첫 글자인 알파벳 외의 다른 기호를 KS 나 DIN과 같은 특별한 규칙이 없어 처음 대하는 재료들은 일일이 찾아볼 수 밖에 없다.

 

 

ASTM 단위

 

기본적으로 Inch-Pound Units를 사용하였으며 아래 보기와 같이 따로 표기된 것은 Metric Units로도 나타낸다.

 

예) A128M(숫자 뒤, 년도 앞에 M을 추가)

 

 

ASTM 규격 표시

 

ASTM_규격표시

 

 

위 그림과 같이 'A'는 분류기호를 나타내며, '656'은 규격번호를 나타냅니다. 마지막 '84'는 제정 또는 개정년도를 나타냅니다.

 

 

여기까지 ASTM 규격 보는법, 표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플랜트 > Code & Stand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S 규격번호 뜻과 규격표시 표시방법  (0) 2023.06.08
ASTM E709-08 PDF  (0) 2022.06.16
ASTM E1012-14 PDF  (0) 2022.06.16
ASTM E1806-09 PDF  (0) 2022.06.14
플랜트 ASTM, EN ISO 파이프 직진도 및 배관 제작 공차  (0) 2020.09.08

댓글